1) Krashen과 Terrell은 학문적 학습 능력보다 기본적 의사 소통 능력에 초점을 맞춤

2) 구어 면에서 볼 때, 목표어로 두세 사람과 대화에 참여하고, 다른 사람의 대화를 들을 수 있으며, 공공을      대상으로 하는 연설을 알아듣고, 라디오, TV, 음악, 영화 등을 알아 듣는 수준임

3) 기본적 의사 소통 기능에서 요구하는 문어적 측면은 동료에게 메모를 남기거나 읽을 수 있고, 공공 표지      판, 일정한 문서 형식, 광고, 개인 서신을 읽거나, 재미로 다양한 읽을 거리를 읽을 수 있는 정도의 수준      임

4) 자연 교수법은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소재들을 상황과 함께 제시하는데, 가족, 친구, 의식주 생활, 여행,      쇼핑 등 주로 개인이 사회 생활을 하는데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는 소재들을 대상으로 삼고 있음. 따라서,      자연적 교수법은 개인의 의사 소통 기능을 늘리기 위해 상황(situation), 기능(function), 화제(topic)를      중심으로 언어를 습득함.

5) 의사 소통을 언어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보아 의사 소통 능력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두지만 언어학적      이론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사 소통교수법과 다름

6) 자연교수법의 기본 원리는 학생의 모국어에 의존하지 않고, 어린이가 모국어를 자연스럽게 배우는 원리      를 적용하여 의사 소통 상황 속에서 목표언어를 자연스럽게 배우는 원리를 직접 사용해서 가르치는 방법      임.  

7) 자연적 교수법에서는 이해 가능하고 의미 있는 언어 자료의 입력을 강조함

 

 

 

 

 

1) 습득·학습가설(acquisition and 1earning hypothesis) : 제2언어 또는 외국어의 언어능력(competence)      이 발달되는데는 습득과 학습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주장한다. 습득은 어린이의 모국어 발달과 유사      한 과정으로 언어에 대한 이해와 의사 전달을 위한 언어사용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언어에 능숙해지는 무      의식적인 과정을 지칭한다. 반면에 학습은 하나의 언어에 대한 의식적인 규칙이 발달되는 과정으로 한      언어의 형태에 대한 명시적 지식과 이 지식을 입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학습이 일어나도      록 하기 위해서는 형식적 교수가 필요하고 학습된 규칙들의 발달을 돕기 위해서는 오류의 수정이 필요하      다.

 

2) 모니터 가설(monitor hypothesis): 제2언어 또는 외국어로 의사를 전달할 때 습득된 언어적 체계로 발화      를 하게 되는데, 의식적인 학습은 이미 습득된 체계의 출력(output)을 점검하고 수정하는 감시자로서 작      용할 수 있다. 성공적인 모니터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학습된 규칙을 선택하고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어야 하고, 아울러 언어규칙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3) 자연순서가설(natural order hypothesis): 문법적 구조의 습득이 예측 가능한 순서로 진행된다고 하는      가설로 영어를 모국어로 습득할 경우 어떤 일정한 문법구조나 형태소들은 다른 것에 앞서서 습득되며,      제2언어 습득의 경우에도 비슷한 자연적 순서가 발견된다는 것이다.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는 자연스런      발달 과정의 표시이며, 습득되는 동안에는 학습자의 모국어가 그 어느 것이라 할지라도 비슷한 발달상의      오류가 학습자에게서 일어난다.

 

4) 입력가설(input hypothesis): 학습자가 한 언어에 대해 노출된 정도와 언어습득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로 학습자들이 가진 현재의 언어능력 수준(i)을 약간 넘는 입력(i+1)을 이해함으로써 언어를 잘      습득한다는 주장이다. 즉, 습득자가 가진 언어 능력의 수준인 i단계에서 어떤 자연적 순서를 따라 i를 즉      시 뒤따르는 i+1단계의 언어를 이해할 때 언어를 가장 잘 습득하게 된다. 또한 충분한 양의 이해 가능한      입력 (comprehensible input)이 있을 경우 i+1은 자동적으로 제공된다. 이해 가능한 입력이란, 표현된      언어뿐 아니라 상황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입력을 지칭한다. 화자가 언어로 전달한 내용      을 청자가 이해할 때, 화자는 청자의 현재의 언어능력 수준 주위에 해당하는 입력문을 많이 제공해야 청      자가 학습자로서 보다 많은 양의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

 

5) 정의적 여과가설(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 학습자의 정의적 상태 또는 태도가 습득에 필요한 입력      을 자유로이 통과시키거나 방해하며, 또는 막아 버리는 조절 가능한 여과기 역할을 한다고 본다. 정의적      여과가 낮은 것이 바람직한데 그것은 필요한 입력을 보다 덜 방해하기 때문이다. 제2언어습득과 관련된      정의적 변인과 태도변인에는 동기(motivation), 자신감(self-confidence), 불안(anxiety) 등이 있다. 이      가설에 따 르면, 정의적 여과가 낮은 학습자는 더 많은 입력을 탐색하여 받아들이고 자신감을 갖고 상호      작용하며, 자신들이 받은 입력에 대해 보다 더 수용적이라고 한다. 불안감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는 정의      적 여과가 높고 그로 인해 습득이 방해된다. 정의적 여과 가설의 입장에서 볼 때, 제2언어습득에 있어서      나이가 많은 습득자보다 어린이가 더 낮기 때문에 언어습득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

 

 

 

 

Terrell과 Krashen은 자연적 교수법의 원리에 의거한 교수요목을 매우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1) 발화 전 단계(Prespeech): 듣기 능력을 집중적으로 키우기 위해 전신 반응법을 이용한 다양한 명령을      듣고 이에 반응하는 방법이 주로 요구됨

2) 초기 발화 단계(Early production): 다양한 보조 자료를 사용하여 교수 용어(teacher talk)를 학생들에게      적절한 수준으로 늘리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음. 이 때 주로 제시되는 활동은 주위 친구들을 대상으로 조      사하는 활동, 비행기 스케줄 등을 이용한 읽기, 쓰기, 상호 작용하기, 물건 사기 등의 단순한 의사 소통      활동들임.

3) 발화 확장 단계(Extending production): 다양한 형태의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활동 즉, 역할놀이, 소극      (skit) 등이 제시됨.

 

 

 

 

 

자연적 교수법은 특별한 교수 절차가 있는 것은 아니나,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발화 단계까지로의 확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절차에 따른다.

 

1) 수업의 시작은 TPR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명령에 따르게 한다.

2) 학생 및 주위의 간단한 사물, 혹은 신체를 사용하여 TPR 교수법 활동을 한다.

3) 학급의 사물을 영어로 소개하고 이를 TPR과 접목시킨다.

4) 학생들이 입고 있는 의복, 가족 구성원, 소지품 등을 사용하여 어휘를 확장하고 이해하게 한다.

5) 주위에 이용할 수 있는 그림, 기자재, 학용품 등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듣고, 말하게 한다.

6)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을 중심으로, 역할극, 챈트, 놀이 등을 하게 한다.

 

그러나, 초보 단계에서는 구술 표현을 제한하고, 자발적으로 응답하게 하며, 발음도 무의식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오류 수정을 하지 않도록 한다. 이 교수법은 일련의 습득 활동을 통하여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이를 점진적으로 발전시켜 의사 소통능력을 개발한다. 습득 활동은 학습자의 감정, 의견, 욕구, 반응, 생각, 경험 등을 포함한 정의적 인간적 활동으로 대화, 면접, 의견 조사, 개인 신상 차트 등의 활동을 한다. 학습 자료는 주변에서 흔히 접하거나, 학습에 이용되는 다양한 광고, 그래프, 지도, 게임 활동 등을 이용한다.

 

'STM스터디 > 영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화식 교수법  (0) 2018.04.13
전신반응 교수법  (0) 2018.04.13
과제중심 교수법  (0) 2018.04.12
Posted by Sarah P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