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중심 교수법(Task-based approach)
정의
◇ 의사 소통교수법의 원리에 근거하여 실제 의사 소통을 통하여 일정한 과제를 완수하도록 하는 교수 방법 임
◇ 과제(task)는 학습자가 일정한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하여 의사 소통을 목적으로 외국어를 사용하는 활동을 의미(Willis, 1996; Nunan, 1989).
◇ 의사 소통이 포함된 활동이 언어 학습의 기본이 되어야 하고, 유의미한 과제(meaningful tasks)를 수행하기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는 활동을 하게되면, 학습이 증진된다는 원리임
◇ 의사 소통의 최소 단위인 두 사람에게 상호 협조하여 해결해야 할 어떤 과제를 제시함
◇ 결과보다는 과제를 해내는 과정을 중시하는 교수 방법으로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CLT)에서 출발하여, 학습 책략, 제2언어 습득 연구를 바탕으로 더욱 발달되었으며, 과정적 교수요목(procedural syllabus), 과정 중심 교수요목(process syllabus)에서도 주로 사용되는 방안임
특징(Feeze, 1998; Nunan, 1989; Willis, 1996)
◇ 수업의 초점은 결과적 산출물이 아니라 학습 과정임
◇ 수업의 기본 요소는 다양한 활동 혹은 과제로서, 여기에 참여한 학생들은 개개인의 과제를 하기 위하여 유의미한 상호작용 및 의사 소통을 통해서 결과를 산출함
◇ 학습에 사용되는 과제는 실제 생활에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되, 교육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함
◇ 과제 중심 교수법에 근거한 교육과정 혹은 교수요목은 난이도에 따라 조절됨. 이 때, 과업의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과업의 복잡성, 그 일을 하는데 필요한 언어 수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도 등이 있음(Brindley, 1987; Nunan, 1989).
◇ 학습의 대부분이 짝 활동, 그룹 활동으로 이루어짐. 그룹별로 활동을 하게 하면, 진정한 의미의 언어사용(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이유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연습의 경우에도 학생들이 같은 형태의 질문이나 대답을 반복하는데 대한 이유를 제공해 줄 수 있음
◇ 교사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것보다 학생들이 그룹별로 질문하고 대답하게 하면 학생들 개개인의 언어 연습의 기회가 훨씬 많아짐
◇ 과제 중심 교수법에서 교사는 충고자(advisor) 혹은 촉진자(facilitator)로서 학습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유지시킴(Nunan, 1989).
◇ 학생은 학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교사와 협의하여 배우고 있는 과정의 교수요목을 결정하기도하고, 학습 자료의 선정에 관여하여 자기의 진도에 따라서 공부할 수도 있으며, 적절한 학습 책략을 충분히 검토하여 선정하기도 함
◇ 언어 학습은 종합적인 방법으로 습득된다고 봄.
◇ 과제 수행 활동 중에 발생하는 오류는 의사 소통에 방해가 될 때에만 지적함
과제중심의 수업률(Willis, 1996)
Willis(1996)는 과제 중심 수업의 틀을 사전 과제 단계 → 본 과제 수행 단계 → 언어 학습의 3단계로 제시한다.
1) 사전 단계
본 수업에서 수행하여야 할 과제를 하기 위해 필요한 구, 표현 등을 학습하고, 학생들에게 과제의 목표, 절차 등을 설명함
2) 본 과제 수행 단계
학생들은 그룹으로 나누어 활동한다. 이 단계에서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을 하고, 그룹으로 나뉘어 과제를 수행한 후, 결과를 기록하여 발표함
3) 언어학습 단계
과제를 하면서 사용했던 언어 재료(text)나 녹음 재료를 가지고 언어적 측면에서 학습함
교수법에서 사용되는 유형별 분류(Nunan, 1989; Willis, 1996)
◇ 열거하기(listing): 여러 자료를 주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그리거나 제시
◇ 순서 맞추기(ordering & sorting): 여러 가지 재료를 논리적인 순서에 의해 꿰어 맞춤
◇ 비교하기(comparing): 여러 자료를 가지고 유사점과 차이를 구분함
◇ 문제해결하기(problem solving): 지적 추론 능력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함
◇ 경험 말하기(sharing personal experience): 자신의 느낌과 경험들을 자유롭게 말하고, 이를 토대로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는 형태
◇ 창의적 과제(creative task): 우체국에서 가서 실제로 소포를 부치거나 물건을 사는 활동